Javascript는 크게 두가지 자료형(Data type)을 가진다
하나씩 알아보자!
1. 원시타입(primitive data type)
a. 숫자(Number)자료형
- 놀라운 사실이 있다. Javascript의 경우 타 언어와 달리 int, float, double과 같은 정수나 실수, 32bit 또는 64bit를 구분하는 type이 없다고 한다. 모든 숫자는 64bit 실수로 표현된다. python을 공부하는 나에게는 정말 새롭게 느껴졌다.
b. Boolean 자료형
- 거의 모든 언어에서 존재하는 Boolean자료형이다. 소문자를 사용하여 true, false 두가지로 나뉜다
c. String 자료형
- 문자열 자료형이다. ''나 ""둘다 동일하게 취급하고, 대신 '"는 안된다. 그리고 ES6부터는 ``(백틱)또한 지원된다고 한다.
추가적으로, 문자열과 변수를 동시에 출력할 때, a라는 변수가 있다고 가정하면 `문자열 : ${a}` 와 같이 이용할 때에는 ``만 가능하다. ''와 ""는 안된다고 한다.


이렇게 말이다!
d. Null 자료형
- 타 언어에서 사용되는 null과 달리, Javascript에서는 null자료형을 '존재하지 않는 값' 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. 자칫 undefined랑 헷갈릴 수 있는데, 차이점은 이어서 나올 Undefined자료형에서 살펴보도록 하자!
e. Undefined 자료형
- undefined자료형은 값이 할당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.
자, 그렇다면 undefined와 null은 뭐가 다른걸까? 초기에 변수에 값을 할당해주지 않았을 때, 그 변수를 출력하면 undefined이 된다.
즉, 값을 아직 넣어주지 않았을 때 undefined이다.
반면에, null은 변수에 값은 값이지만 값으로써 의미없다는 특별한 값을 선언해주고 싶을 때(조금 이해가 안갈 수 있다) 선언을 해주는 것이다.
f. Symbol 자료형
- Symbol자료형은 유일한 식별자를 만들고 싶을때 사용하는 자료형이다